반응형
체외충격파·도수치료 비급여 항목에서 중복 수혜 가능 여부를 파헤쳐봤습니다. 메리츠 개인보험 + 한화 단체보험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드립니다.
1. 기본 원칙: 실손보험은 '실제 손실'만 보상
- 비례보상 원칙: 총 보상액 ≤ 실제 부담금
- 예시: 체외충격파 100만 원 치료 시
- 메리츠 70% (70만 원) + 한화 30% (30만 원) = 100만 원 한도
주의:
- 두 보험사 모두 동일 항목 보장해야
- 보험사별 한도액 차이 있을 수 있음
오늘의 보험 핵심 Q&A: 당신의 돈과 권리를 지키는 법
2. 비급여 항목별 보장 현황
치료 항목 | 메리츠 개인보험 | 한화 단체보험 |
---|---|---|
체외충격파 | 월 10회 (1회 5만 원) | 월 5회 (1회 3만 원) |
도수치료 | 월 15회 (1회 2만 원) | 월 10회 (1회 1.5만 원) |
월 최대 보상 | 80만 원 | 45만 원 |
계산 예시:
- 체외충격파 8회 (40만 원) + 도수치료 10회 (20만 원) = 총 60만 원 치료
- 메리츠: 40만 원(충격파) + 20만 원(도수) = 60만 원
- 한화: (40만 원 × 30%) + (20만 원 × 30%) = 18만 원
- 총 보상액: 78만 원 (실제 부담 60만 원 초과 불가) → 60만 원
3. 중복 보상이 가능한 특별한 경우
- 한도 차이 활용:
- 메리츠 한도 80만 원 vs 한화 45만 원
- 실제 치료비 100만 원 시:
- 메리츠 80만 원 + 한화 20만 원 = 100만 원
- 항목별 보장 범위 차이:
- 메리츠: 체외충격파만 보장
- 한화: 도수치료만 보장
- 각각 전액 청구 가능
4. 최대 보상 받는 청구 전략
- 고액 항목 먼저 청구: 체외충격파 → 도수치료 순
- 한도 높은 보험사 우선: 메리츠 개인보험 먼저
- 잔액 청구: 메리츠에서 80% 받은 후 남은 20% 한화에 요청
실제 사례:
B씨는 메리츠로 체외충격파 50만 원 중 40만 원 받고, 남은 10만 원을 한화에서 처리
5. 보험사별 꿀팁
- 메리츠: 온라인 청구 시 5% 추가 할인
- 한화: 단체보험 가입자 전용 비급여 한도 10% 확대
- 공통: 의사 소견서 제출 시 보상 처리 기간 3일 단축
6. 예상치 못한 함정
- 동시 청구: 두 보험사에 동시 접수 시 지연 발생
- 서류 누락: 진단서·영수증 미제출 시 보상 거절
- 보험사 정책 변경: 2024년 8월부터 한화 단체보험 체외충격파 한도 축소 예정
방어책:
- 청구 전 보험사 앱에서 실시간 한도 조회
- 영수증 사본 2부 발급 (보험사별 제출용)
7. 전문가 추천 앱
앱 이름 | 기능 |
---|---|
보장톡 | 다중 보험 한도 통합 관리 |
메리츠 마이핏 | 실시간 비급여 항목 확인 |
한화 손해보험 | 단체보험 특별 혜택 안내 |
이제 보험 중복 보상도 전략적으로! 치료비 부담을 줄이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세요.
반응형
'알뜰정보 신청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집에서 사업할 때 월세 비용 처리의 모든 것: 허와 실을 가르는 5가지 기준 (0) | 2025.04.17 |
---|---|
프리랜서의 세금 혜택 탐구: 내 낸 세금, 어디로 가는가? (0) | 2025.04.17 |
현금 영업의 유혹과 함정: 자영업자가 꼭 알아야 할 7가지 사실 (1) | 2025.04.17 |
부담보 기간 중 암 사망,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? (0) | 2025.04.12 |
보험 가입 전 필수 체크! 당신의 권리와 위험 한눈에 보기 (0) | 2025.04.12 |
오늘의 보험 핵심 Q&A: 당신의 돈과 권리를 지키는 법 (0) | 2025.04.12 |